식품이란?
: 우리나라의 식품공전에 등록된 재료 또는 소재는 식품으로 분류한다.

식품의 기능성은 물리적 기능성, 화학적 기능성, 생물학적 기능성으로 나뉘며,
1. 물리적 기능성
: 식품의 물리적 성질을 조절하거나 이용하여 가공 또는 조리 식품의 특징과 가치를 높이는 것으로 이러한 기능을 이용한 유화제, 점증제 등은 식품 산업에서 유용한 식품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2. 화학적 기능성
: 식품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화학반응과 연관된 것으로 특히 색, 냄새, 맛과 같은 감각 기능과 관련 있는 내용을 포함한다.
3. 생물학적 기능성
: 영양소의 공급 기능과 더불어 건강 기능성이라고도 하는 생체 조절 기능성을 포함하며, 소득 수준의 향상과 고령화 사회로 진입 등 일련의 사회구조 및 트렌드 변화에 따라 최근 많은 관심을 받는 분야이다 .
또한, 식품의 기능성은 1차, 2차, 3차 기능으로 나누어 정의하기도 하며
1차 기능성 - 영양적 기능 > 칼로리와 영양소를 공급하는 식품의 기본적인 기능
2차 기능성 - 기호적 기능 > 맛, 향, 물성 조절
3차 기능성 - 생리학적 기능 > 몸의 건강 유지에 도움
따라서, 식품의 기능성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논의는 식품학 및 영양학의 가장 중요한 핵심 키워드 중의 하나이며 기초 과하가, 공학, 의학, 한의햑, 약학, 식품과학 및 영양학의 폭넓은 지식을 바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
질병 발생 위험 감소 기능
식품의 건강 효능 표시에서 일반적으로는 질병의 명칭 사용이 제한되며, 효능이 비교적 확실하게 입증되어 있는 경우,
질병 발생 위험 감소 기능을 인정받아 효능 표시에 질병 이름을 사용 할 수 있다.
ex. 일반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콜레스테롤 감소, 체지방 감소 등으로 건강 효능이 표시되나, 질병 발생 위험 감소 기능이 인정된 경우에는 충치 예방 등으로 질병 이름의 사용을 허용하고 있다 .
따라서, 우리 나라의 건강기능식품은 안전성이 확보되고 표준화된 원료를 이용하여 건강 기능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하여 인체의 정상적 기능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식품이다.
건강 효능 평가는 의약품과는 다른 근거 수준으로 평가하는데, 즉 섭취함에 따라 병에 걸리는 환자 수의 감소가 아니라, 질병의 예측 인자를 개선하는 효과를 평가하게 된다 .
ex,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함으로써 심장병에 걸리는 환자 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심장병의 주요 예측 인자인 LDL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낮추는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는 얼핏 비슷한 것이라 오인할 수 있으나 약리학적 측면이나 효능 실험의 근거 수준에서는 큰 차이가 있다.
즉, 건강식품은 말 그대로 건강 유지에 도움을 주는 식품으로, 질병의 치료가 목적이 아님을 기억해야 한다.

다만, 식품이지만 질병 치료의 효능이 확인되면 의약품으로 개발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오메가-3 지방산은 많은 연구 결과에서 치료 효능이 확인되어 심혈관계 치료 약물로도 사용되고 있다.
심혈관 질환의 치료제인 로바스타틴은 식품 미생물의 발효산물에서 추출되어 약물로 개발 되었으며, 누룩 곰팡이인 홍국을 쌀에 발효시킨 홍국쌀의 효능 성분인 모나콜린 K도 로바스타틴과 동일한 물질이다 .
홍국쌀은 우리나라에서 건강기능식품으로 허가 되어 있으며, 밀크씨슬에 함유되어 있는 실리마린도 간 보효 효능이 있는 건강기능식품인 동시에 독성 간질환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
이러한 경우는 주로 투여량에 따라 저농도에서는 건강기능식품으로, 고농도에서는 치료제로 인정되는 경우가 많다. 식품 소재가 의약품 용도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에 걸친 많은 연구 결과가 축적되어야 하며, 질병 치료 효과가 명확하게 규명되어야 가능하다 .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급실 없는 8개 시군구_30분 이내 도착 가능 응급실 0개 (0) | 2023.09.30 |
---|---|
전림선암 남성암 3위 최근 5년새 40% 증가 및 검진법과 예방 (0) | 2023.09.19 |
비브리오 패혈증으로 덜 익은 생선 먹고 팔 다리 절단 및 치사율 (1) | 2023.09.18 |
뇌건강 영양제 _ 식약처가 인증한 치매에 도움 되는 영양제 (2) | 2023.09.17 |
알츠하이머 치매 발병 원인 최초 확인 치매 유발 단백질은 무엇이고 어떤 독성물질을 만드는가 (0) | 2023.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