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상식

응급실 없는 8개 시군구_30분 이내 도착 가능 응급실 0개

반응형

"지역별 의료차별…복지부, 병상수급 관리책 마련해야"

 

 최근 조사에 따르면 전국 229개 시군구 중 8곳은 지역 주민들이 30분 이내에 찾을 수 있는 병원급(2차 의료기관) 응급실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0분 내에 응급실이 없는 시군구

   3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이 국립중앙의료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강원 인제·평창·화천군, 경북 울릉·청송·영양·영덕군, 전북 무주군 등 8개 지역의 '30분 이내' 병원급 응급실 이용률은 0%인 것으로 집계됐다.

경기 연천군(0.1%), 충북 보은군(0.8%) 등 2곳은 '30분 이내' 병원급 응급실 이용률이 1%도 되지 않는다.

반면, 대구광역시 서구(94.0%)·남구(94.0%)·북구(93.9%)는 각각 90%를 상회해 위의 군과 대조되는 수치를 보였다.

심각한 인력난 '소아청소년과'

 최근 전공의 부족 등으로 인력난을 겪는 소아청소년과의 경우에도 지역별 불균형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60분 이내' 병원급 소아청소년과 이용률을 보면, 부산 동구는 98.6%에 달했지만, 경북 울릉군, 강원 정선군 등 7개 시군구의 경우 0%였다.

최 의원은 "당장 생명이 위독한 환자가 30분 이내에 갈 수 있는 병원급 응급실이 없는 지역이 8개나 된다는 것은 지역별 의료불균형을 넘어 의료 차별 상황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어 "보건복지부는 수도권 및 대도시 위주의 대형병원 병상 증가를 억제하고 국가적 차원의 병상 수급 관리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해결방안

따라서 이러한 현상에 대처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책이 필요해보인다.

 

1. 응급의료 인프라 강화

 : 해당 지역에 응급실을 마련하고 의료 인프라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며 의료 시설, 의사, 간호사, 응급 의료 장비 등을 보강하여 긴급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의료 인력 양성

 : 응급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의료 인력을 양성하고 지역에 유치하는 정책을 채택한다.

응급 의료 전문가의 부족은 문제의 한 부분이 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3. 텔레메딕신과 원격 의료 서비스

 : 원격 의료 서비스 및 텔레메딕신을 활용하여 지역 주민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지역 사회에서 응급 상황에 대한 신속한 조치와 진료를 받을 수 있게 되기 때문에 필요하다.

4. 응급 상황 대비 교육

 : 지역 주민들에게 응급 상황에서 적절한 처치와 조치를 할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하여, 응급 상황에서 자신을 돕을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상황에 맞는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

 

위와 같은 방법으로 지역의 응급 의료 서비스를 강화하고 주민들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 출처 :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 대경일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