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강상식

응급실 없는 8개 시군구_30분 이내 도착 가능 응급실 0개 "지역별 의료차별…복지부, 병상수급 관리책 마련해야" 최근 조사에 따르면 전국 229개 시군구 중 8곳은 지역 주민들이 30분 이내에 찾을 수 있는 병원급(2차 의료기관) 응급실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0분 내에 응급실이 없는 시군구 3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이 국립중앙의료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강원 인제·평창·화천군, 경북 울릉·청송·영양·영덕군, 전북 무주군 등 8개 지역의 '30분 이내' 병원급 응급실 이용률은 0%인 것으로 집계됐다. 경기 연천군(0.1%), 충북 보은군(0.8%) 등 2곳은 '30분 이내' 병원급 응급실 이용률이 1%도 되지 않는다. 반면, 대구광역시 서구(94.0%)·남구(94.0%)·북구(93.9%)는 각각 90%를 상회해 위의 .. 더보기
식품의 기능성 개요_식품의 정의 및 의약품의 효능 식품이란? : 우리나라의 식품공전에 등록된 재료 또는 소재는 식품으로 분류한다. 식품의 기능성은 물리적 기능성, 화학적 기능성, 생물학적 기능성으로 나뉘며, 1. 물리적 기능성 : 식품의 물리적 성질을 조절하거나 이용하여 가공 또는 조리 식품의 특징과 가치를 높이는 것으로 이러한 기능을 이용한 유화제, 점증제 등은 식품 산업에서 유용한 식품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2. 화학적 기능성 : 식품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화학반응과 연관된 것으로 특히 색, 냄새, 맛과 같은 감각 기능과 관련 있는 내용을 포함한다. 3. 생물학적 기능성 : 영양소의 공급 기능과 더불어 건강 기능성이라고도 하는 생체 조절 기능성을 포함하며, 소득 수준의 향상과 고령화 사회로 진입 등 일련의 사회구조 및 트렌드 변화에 따라 최근 많은 .. 더보기
전림선암 남성암 3위 최근 5년새 40% 증가 및 검진법과 예방 대한민국 남성암 중 3위를 차지하는 전립선암이 최근 5년 사이에 40% 증가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경각심을 느낄 수 있도록 9월 셋째 주는 전립선암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확립하고 조기 검진 확대를 위해 제정된 ‘전립선암 인식 주간’이다. 전립선(Prostate)은 전립선액을 생성·분비하는 방광 아래에 위치한 밤알 크기의 남성 생식선인데, 전립선암은 이곳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을 말한다. 악성 종양임에도 전립선암 환자 10명중 8명은 배뇨 장애 등 자각증상을 느끼고도 평균 9.5개월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채 방치하여 병을 더 키우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립선암은 미국·일본·영국 등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회원국에서 남성 암 발병률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더보기
비브리오 패혈증으로 덜 익은 생선 먹고 팔 다리 절단 및 치사율 덜 익은 생선 섭취 하여 팔, 다리 네 개 모두 절단 과연 무엇 때문에 그런 것일까 ?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한 40대 여성이 덜 익힌 생선을 먹고 박테리아에 감염돼 양손과 다리를 모두 절단하였다. 현지시간 기준 18일 기부 플랫폼 고펀드미(GoFundMe)와 외신 보도에 따르면 캘리포니아 새너제이에 거주하는 로라 라바하스는 지난 7월 말 한 시장에서 구입한 틸라피아 생선을 먹은 뒤 통증을 느끼고 병원을 방문하면서 증상을 알게 되었다. 의료진은 로라에게 비브리오 패혈증 진단을 내렸고, 로라의 친구는 고펀드미에 그녀의 모습을 공개하고 "손가락, 발, 아랫입술이 모두 검게 변했다"며 "로라는 한 달 넘게 병원에 입원하며 목숨을 걸고 사투를 벌였고, 지난 13일 생명을 구하기 위해 사지 네 개를 모두 절단해야.. 더보기
뇌건강 영양제 _ 식약처가 인증한 치매에 도움 되는 영양제 치료할 수 없는 병인 치매는 현재 국내 치매 인구가 계속 늘어나 100만명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60세 이상 치매환자는 96만555명으로 해당 연령대의 7.3%였고, 65세 이상만 보면 93만5086명으로 10.38%에 이른다. 즉, 해당 얘기는 노인 10명 중 1명은 치매 환자라는 얘기다. 유형별로는 알츠하이머병(76.04%), 혈관성 치매(8.57%), 기타 치매(15.37%)의 비율로 발생하고 있다. 오는 2039년에는 200만명, 2050년이면 300만명을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100만 치매 시대 코앞 치매의 종류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는 위축되어 일반인보다 작다.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아밀로이드 베타(Aβ) 단백질이 침착되면서 생긴 노인성반점(senile pla.. 더보기
알츠하이머 치매 발병 원인 최초 확인 치매 유발 단백질은 무엇이고 어떤 독성물질을 만드는가 그동안 치매는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어서 발병 했을 때 대책 없이 질병으로 고생하는 일이 허다했다. 하지만 이번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 다양한 연구원들이 치매의 원인이 타우 단백질의 섬유화 과정과 신경독성 물질 형성 원리를 통해 발병한다는 것을 최초로 입증 했다고 한다 . 즉, 치매의 원인인 ‘타우 단백질’이 뇌 신경세포를 죽이는 독성물질을 만들어 알츠하이머병을 일으키고 있었으며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가 개발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치매의 정의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으로, 1907년 독일의 정신과 의사인 알로이스 알츠하이머 (Alois Alzheimer) 박사에 의해 최초로 보고되었다. 알츠하이머병은 매우 서서히 발병하여 점진적으로 진행되.. 더보기
[영양제추천] 비타민D_뼈 건강과 면역 시스템 강화를 위한 필수 영양소 비타민 D는 지방에 녹는 비타민 중 하나로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영양소 중 하나이며, 주로 햇빛을 통해 체내에서 생합성되며 일부 식품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 따라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타민D의 종류 및 기능, 하루 권장량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비타민D는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가장 중요한 형태는 비타민 D2(에르고칼시페롤)와 비타민 D3(콜레칼시페롤)이며, - 비타민 D2 (에르고칼시페롤) : 비타민 D2는 식물성 원료에서 생산되며, 주로 식품 보강제나 비타민 D2 함유 식품에서 발견된다. 비타민 D2는 비타민 D3보다 덜 효과적인 형태로, 일반적으로 비타민 D3와 비교하여 우리 몸에서 덜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 비타민 D3 (콜레칼시페롤) : 비타민 D3는 주로 동물.. 더보기
Omega-3: Essential Fatty Acids for Enhancing Cardiovascular Health and Brain Function Omega3 , also known as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s an essential nutrient for our bodies that offers numerous health benefits. Omega-3 primarily consists of two major fatty acids: eicosapentaenoic acid (EPA)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Omega3 is a type of fatty acid and an essential nutrient for the human body. Since our bodies cannot synthesize it on their own, we need to consume it thro.. 더보기

반응형